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스크랩] 불상(佛像)의 수인(手印)

불교/일반

by 빛살 2015. 2. 22. 18:35

본문

 

                                       불상(佛像)의 수인(手印)

 

 

         불, 보살의 공덕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손모양을 수인(手印)이라 합니다.  원래 불전도(佛傳

      圖)에 나오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손모양에서 유래한 것으로 석가모니불의 경우에는 선정인

      (禪定印),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전법륜인(轉法輪印), 시무외인(施無畏印), 여원인(與願印)

      의 다섯 가지 수인을 주로 취하나 이 밖에도 천지인(天地印) 등이 있습니다.

 

         특히 밀교(密敎)에서는 수인을 중시하여 대일여래(大日如來)의 지권인(智拳印)을 비롯하여

      보살(菩薩), 천부(天部), 명왕(明王) 등에 따른 다양한 손모양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이와 같이 불상 종류에 의한 수인은 교리적인 뜻을 가지고 표현되었기 때문에 불상의 성격

       과 명칭을 분명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였으나 우리 나라에서는 그 규칙이 엄격하게 지켜지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인(印)이란 범어 mudrā의 번역으로 모다라(母陀羅)로 음역합니다.  이는 표시ㆍ증거를 말

      합니다.  이를 인계(印契)라고도 하는데 이를 인상(印相)ㆍ밀인(密印)이라고도 합니다.  불ㆍ

      보살 등 제존(諸尊)의 깨달은 내용을 기물(器物)이나 손가락으로 나타낸 것을 말합니다.  또

      수행자가 그것을 그리거나 또는 손가락을 맺음을 말합니다.  손가락으로 나타낸 것수인

      (手印)이라고 하며, 약기(藥器)ㆍ칼ㆍ지팡이 등 제존(諸尊)이 지물(持物)로 나타낸 것계인

      (契印)이라 합니다.

 

 

         1. 선정인(禪定印)

 

         부처님께서 선정(禪定)에 든 것을 상징하는 것으로 결가부좌(結跏趺坐)한 상이 취하는 수

      인입니다.  삼마지인(三摩地印) 또는 삼매인(三昧印)이라고도 하며 불상의 종류에 따라 법계

      정인(法界定印), 등지인(等持印)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원래는 석가모니가 보리수 아래 금강

      좌(金剛座)에 앉아 깊은 생각에 잠겨 있을 때 취한 첫 수인입니다.

 

         손바닥을 편 채로 왼손은 배꼽 아래에 두고, 그 위에 오른손을 포개서 두 엄지손가락을 맞

      대고 있는 모양입니다.

 

 

                          

                                           부처님 고행상의 선정인(禪定印)

 

 

         2. 시무외인(施無畏印)

 

         부처님께서 중생의 모든 두려움을 없애주고 위안을 주는 수인입니다. 인도의 초기 불상에

      서 흔히 볼 수 있는데 오른손 또는 왼손을 어깨 높이까지 올리고 다섯 손가락을 세운 채로 손

      바닥을 밖으로 향하게 한 형태입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삼국 시대부터 여원인과 짝을 이루어 크게 유행하였으며 이 두 수인을 합

      하여 일명 통인(通印)이라 합니다.

 

 

         3. 여원인(與願印)

 

         부처님이 중생이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다 들어준다고 하는 의미의 수인입니다. 시원인

      (施願印), 만원인(滿願印) 이라고도 합니다.  왼손을 내려서 손바닥을 밖으로 향하게 한 손모

      양으로 시무외인과는 반대가 됩니다. 우리 나라의 경우 여원인은 넷째, 다섯째 손가락을 구

      부리고 있는 것이 하나의 특징이며 삼국 시대 불상에서는 시무외인과 함께 불상의 종류에 관

      계없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4. 통인(通印)

 

         시무외인과 여원인을 합친 수인을 말합니다. (위 마애불사진이 통인입니다) 교리상 비슷

      한 성격을 가진 두 개의 수인을 합치게 된 것은 보다 많은 자비를 베풀 수 있다고 믿었기

      문인 것 같습니다.

 

         통인을 취하는 상은 대부분 입상으로 우리 나라에서는 고구려의 연가 7년 금동 여래입상

      을 비롯하여 신라의 경주 남산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 배리 삼체석불 입상 등 삼국시대

      불상에서 그 예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시무외인과 여원인을 취하고 있는 불상은 대개 입상으로 석가모니불, 미륵불, 약사여래불

      등 두루 나타납니다.   

 

                           

                                                    법주사 청동미륵대불

                 

                   

                                           서산 마애불 석가모니불의 통인(通印)

 

                   

                                   고령산 보광사 호국대불 석가모니불의 통인(通印)

 

 

         5.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부처님이 깨달음에 이르는 순간을 상징하는 수인입니다. 항마인(降魔印), 촉지인(觸地印),

      지지인 (指地印)이라고도 합니다.  석존께서 보리수 아래에 앉아 성도(成道)하실 때 마군의

      유혹을 물리친 증인으로 지신(地神)을 불러 자신의 깨달음을 증명하였다는 내용에서 유래되

      습니다.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여 결가부좌한 다리 가운데에 놓고 오른손은 무릎 밑으로

      늘어뜨리면서 다섯 손가락을 편 모양입니다. 이 수인은 반드시 결가부좌한 좌상만이 취하는

      것으로 입상이나 의상(倚像)에서는 볼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통일신라시대 초기의 팔공산 군위 삼존불 본존상을 시작으로 해서 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삼존불 및 석굴암 본존불을 거쳐 고려 시대까지 그 전통 이이어지면서 크게

      유행하였습니다.

 

         항마촉지인은 일반적으로 석가모니불을 나타내나 반드시 그렇다고 단정하지 못합니다. 

      어느 사찰에 가면 아미타 부처님이 항마촉지인을 하고 계시는 것을 봅니다.  석굴암 부처님

      은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어 석가모니불로 생각되는데, 학자간에 '석가모니불, 비로자나불,

      아미타불이다' 하고 학자간에 이견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모든 부처님은 대부분 팔상성

      도(八相成道)를 보이기 때문에 수하항마상(樹下降魔相)의 과정을 거치기 때문이라 합니다.

 

                          

                                 석굴암의 석가모니불의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6. 지권인(智拳印)

 

         이(理)와 지(智), 중생과 부처, 미혹함과 깨달음이 원래는 하나라는 뜻의 수인입니다.

      보리인(菩提印), 각승인(覺勝印)이라고도 합니다. 금강정경(金剛頂經)에 기초를 둔 것으로

      양손을 가슴 앞에 올리고 집게손가락만 똑바로 세운 왼손을 오른손으로 감싸서 오른손 엄지

      가 왼손 집게손가락 끝에 서로 맞닿도록 한 모양입니다.

 

         이 수인은 주로 밀교계(密敎係)의 대일여래(大日如來)가 취하는 것이나 우리나라에서는 화

      엄종의 주존불인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예

      로는 보림사 철조비로자나철불(859년)을 비롯하여 동화사 비로자나철불(863년), 도피안사

      비로자나철불(865년), 축서사 비로자나철불(867년) 등 고려시대의 불상을 들 수 있습니다.

 

                            

                                철원 도피안사의 철조 비로자나불의 지권인(智拳印)

 

                                        

                                  해인사 대적광전의 비로자나불의 지권인(智拳印)

 

 

         7. 설법인(說法印)

 

         이는 중생에게 법을 설하고 있음을 알리는 수인입니다.  이 수인은 앉아 있거나 서 있거나

      관계없이 적용됩니다.  오른팔 혹은 양팔을 들어 엄지와 검지를 붙여 동그라미를 만듭니다. 

      동그라미는 법의 바퀴 법륜(法輪)을 의미합니다.  이 설법인을 취하고 있는 부처님은 대개 노

      사나불(盧舍那佛) 불상이나 탱화에 많이 보입니다. 《화엄경약찬게(華嚴經略纂偈)》에 '현재

      설법노사나(現在說法盧舍那)'라는 구절이 나오듯이 노사나불께서 중생을 위하여 설법하시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공주 신원사 노사나불탱화 국보 299호

 

                               

                                         삼각산 영불사 노사나불의 설법인(說法印)

 

 

 

         8. 전법륜인(轉法輪印)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후 바라나시의 녹야원(鹿野苑)에서 다섯 비구와 중생들에게 최초로

      설법하셨을 때의 수인입니다.  양손을 가슴 앞에 올린 채 왼쪽 손바닥은 안으로, 오른쪽 손

      바닥은 밖으로 향하게 하고 각각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을 맞붙여 마치 불교의 법륜(法輪)

      을 상징하는 것 같은 모양입니다. 이 수인은 시대나 지역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어 일정하

      지 않습니다.  보통 정토교에서 말하는 상품중생인(上品中生印)에 해당되며 단독의 아미타상

      에도 나타납니다.  전법륜인(轉法輪印)을 설법인(說法印)이라고도 합니다.

 

                                             

                          

                   

                                  상왕산 개심사 석가모니불의 전법륜인(轉法輪印)

 

                       

                                 불국사 대웅전 석가여래좌상의 전법륜인(轉法輪印)

 

                                

                                   안압지 출토 금동삼존불상 전법륜인(轉法輪印)

 

 

         9. 합장인(合掌印)

 

         보통 예배를 드리거나 제자와 문답(問答)할 때 취하는 수인으로, 귀명인(歸命印) 또는

      일체절왕인(一切切王印)이라고도 합니다. 두 손을 가슴 앞에 올리고 손바닥을 서로 맞대고

      있는 모양으로 인도의 바르후트 대탑이나 산치 대탑 등의 부조상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통일 신라 시대의 방어산 마애삼존불(801년)의 오른쪽 협시보살상을 비롯

      하여 안압지 출토 금동보살판불상, 석굴암의 십대제자상 등에 나타 나고 있습니다. 일반적

      인 합장의 모습이다.

 

                   

                                      삼각산 국녕사 합장환희불의 합장인(合掌印)

 

 

         10. 천지인(天地印)

 

         부처님께서 룸비니동산에서 탄강하셨을 때 태어나자마자 사방으로 일곱 걸음 걸으시며

      오른손은 들어 하늘을 가리키고 왼손은 내려 땅을 가리키면서 "천상천하 유아독존 삼계개고

      아당안지(天上天下 唯我獨尊 三界皆苦 我當安之)" 라고 외쳤던 데에서 유래한 수인입니다.

      해마다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봉축법요식을 할 때 관욕단(灌浴壇)을 마련하여 탄생불을

      모시고 관불(灌佛)의식을 합니다.

 

                                    

                                                  탄생불의 천지인(天地印)

 

                                 

                                      구룡토수(九龍吐水) 탄생불의 천지인(天地印)

 

         여기서 하나 아실 것은 선정인(禪定印),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전법륜인(轉法輪印), 여

      원인(與願印), 시무외인(施無畏印)을 석가모니불 근본오인(根本五印)이라 합니다. 또는 여원

      인ㆍ시무외인을 통인(通印)이라 하고 천지인(天地印)을 넣어 근본오인으로 삼는 경우도 있습

      니다.

 

 

         11. 아미타불정인(阿彌陀佛定印)  -아미타불구품인(阿彌陀佛九品印)-

 

         이 수인은 아미타불께서 취하는 수인으로 선정인(禪定印)에서 약간 변형된 것입니다.  

      묘관찰지정인(妙觀察智定印)이라고도 합니다.  손의 모양은 손바닥을 위로 한 왼손에 오른손

      을 포개서 배꼽 부근에 놓고 각각 둘째 손가락을 구부려서 그 끝이 엄지손가락에 닿게 한 모

      양입니다.

 

                             

                                      아미타불정인(阿彌陀佛定印)   -하품중생인-

 

 

          아미타불구품인(阿彌陀佛九品印)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에 의하면 중생들은 성품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상ㆍ중ㆍ하

      3등급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세분화하여 9등급으로 나누어서 각 사람에게 알맞게 설법해야

      만 구제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9품에 따라 아미타불의 수인도 각각 다르게 나타납니다.

 

                 

 

         상생인(上生印)은 아미타정인(阿彌陀定印)과 같은 손모양을 하고 있으며 중생인(中生印)은

      두 손을 가슴 앞에까지 올려서 손바닥을 밖으로 향하게 한 자세이고, 하생인(下生印)은 오른

      손을 손바닥이 밖으로 향하게 하여 가슴 위까지 올리고 왼손은 아래로 내리고 있는 것만이

      다를 뿐, 손가락 모양은 상ㆍ중ㆍ하생인이 똑같이 되어 있습니다.  다만 엄지와 맞대고 있는

      손가락에 따라 상(上), 중(中), 하품(下品)으로 구분됩니다.

 

         즉 엄지와 둘째 손가락이 서로 맞대고 있을 때에는 상품이고, 엄지가 셋째 손가락과 맞대

      고 있을 때에는 중품, 그리고 엄지와 넷째 손가락이 닿아 있을 때에는 하품이 되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 상품상생인은 좌상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반면에 입상에서는 상품하생인이 일반적

      입니다.  

 

         또 다른 설에 의하면 이와는 반대로 손모양은 똑같지만 서로 맞댄 손가락에 따라 상ㆍ중ㆍ

      하생인으로 나누는 경우도 있으나 최근에는 전자의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

      라에서는 아미타불이 9품인을 하고 있는 예는 매우 드물며 주로 아미타정인과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습니다.

 

 

         아미타구품인(阿彌陀九品印)의 의미

 

 

         상품상생(上品上生)은 자비심이 높아 죽는 순간 극락 세계의 불보살이 맞이하여 극락에서

      가장 좋은 곳을 말합니다.

 

         상품중생(上品中生)은 대승경전의 깊은 이치를 모두 깨닫고 인과의 윤회를 알아 수행하고

      정진한 자가 태어나는 극락세계를 의미합니다.

 

         상품하생(上品下生)은 인과(因果)의 도리를 믿어 성불하겠다는 신심으로 수행한 자가 태어

      나는 극락세계를 의미합니다. 

 

         중품상생(中品上生)은 중품에서 제일 좋은 세계로 5계와 8계를 지키고 선을 수행한 자가

      태어나는 극락세계를 의미합니다.

 

         중품중생(中品中生)은 불교의 계율을 지키고 열심히 수행한 사람이 태어날 수 있는 극락세

      계를 의미합니다.

 

         중품하생(中品下生)은 10악(十惡)을 저지르지 않고 부모에게 효도하고 덕행을 쌓은 사람이

      태어나는 극락세계를 의미합니다.

 

         하품상생(下品上生)은 악을 곧바로 참회하고 공덕을 쌓은 사람이 스님의 염불공덕으로 태

      어날 수 있는 극락세계를 의미합니다.

 

         하품중생(下品中生)은 5계나 10계를 범하였으나 바로 뉘우치고 올바른 생각을 하는 사람

      이 스님의 염불공덕으로 태어날 수 있는 극락세계를 의미합니다.

 

         하품하생(下品下生)은 많은 죄를 지었으나 늦게나마 참회하고 불심을 가진 사람이 스님의

      염불공덕으로 태어날 수 있는 극락세계를 의미합니다.

 

         대개의 아미타불 수인을 보면 하품중생인(下品中生印)을 주로 하고 있음을 봅니다.

 

 

 

         12. 약기인(藥器印)

 

         보통 약사여래불은 손에 약기(藥器)를 들고 있어 쉽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중생의 병

      고를 없애 주시려는 원력을 담고 있습니다.  약사여래게서는 특정한 수인이 없고 여러 수인

      가운데 하나를 취하고 약합이나 혹은 보주(寶珠)를 들고 계시는 모습입니다.  그런데 아무 것

      도 들고 있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구동화사 약사여래불

 

 

         13. 계인(契印)

 

         계인은 손에 물건을 든 수인을 말합니다.  불상에서 계인을 한 경우는 약사여래와 치성광

      여래입니다.  그외는 불상이 계인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주로 보살상, 신장상, 아라한상

      들이 계인을 하고 있습니다.  

 

         수많은 보살상과 신장상과 아라한상들은 각각 다른 지물을 들고 있기 때문에 종류가 다양

      합니다.  문수보살은 흔히 사자를 타고 연꽃을 들고 있고, 보현보살은 코끼리를 타고 연꽃을

      들고 있으며, 관세음보살님은 화불을 모신 보관을 쓰고 보병을 들고 계시거나 약을 들고 계

      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세지 보살은 보병을 새긴 보관을 쓰고 손에 연꽃이나 보병을 들고

      계시거나 탑을 들고 계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천왕들은 보탑이나 칼ㆍ창ㆍ탑ㆍ용 등을 든

      모습으로 나타납니다. 

 

         이와 같이 지물은 다양합니다.  법구(法具)ㆍ무구(武具)ㆍ약기(藥器)ㆍ동물ㆍ식물ㆍ옥류(玉

      類)ㆍ건축물ㆍ장신구ㆍ별ㆍ자연현상 등 모든 것이 그 대상이 됩니다.

 

 

                    

                                        여수 영취산 흥국사 천수천안 관세음보살

 

 

         이상과 같이 수인을 소개했으나 스님들이 짓는 수인도 있습니다.  49재(齋) 등 천도재를

      지낼 때 관욕(灌浴)의식을 행할 때 목욕진언(沐浴眞言)ㆍ작양지진언(嚼楊枝眞言)ㆍ수구진언

      (嗽口眞言)ㆍ세수면진언(洗手面眞言)ㆍ화의재진언(化衣財眞言)ㆍ수의진언(授衣眞言)ㆍ작의

      진언(着衣眞言)ㆍ정의진언(整衣眞言)ㆍ지단진언(指壇眞言)을 행하며 짓는 다양한 수인이 있

      습니다.

 

                    

                                          신촌 봉원사의 수위안좌인(受位安座印)

 

 

         여러 가지 수인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 사찰 순례를 하실 때 부처님이나 보살님, 사천왕,

      금강역사 등을 뵐 때 눈여겨 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백우 _()_

 

 

                                                    

 

 

출처 : 향기로운 불교
글쓴이 : 백우 원글보기
메모 :

'불교 >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의 절  (0) 2015.05.25
BTN불교방송TV-108대참회문  (0) 2015.04.29
안수정등  (0) 2014.07.18
사명의 법  (0) 2014.02.02
[스크랩] 초발심자경문--원문과 해석  (0) 2013.12.16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