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역성혁명

한문/한자성어

by 빛살 2010. 9. 22. 16:26

본문

역성혁명(易姓革命)

역성(易姓)이란 성(姓)을 바꾼다는 뜻이다. 중국에서는 국가를 한 성이 독점하였으므로 왕성(王姓)의 세습과 국가, 즉 왕조의 존속은 같은 의미였다. 따라서 왕성의 변경은 그 자체로 왕조의 교체를 의미하였다.

 

혁명이란 천명(天命)이 혁신된다는 뜻이다. 중국 고대의 제왕은 천명을 받아 하늘을 대신하여 천하를 통치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천명이 그에게 주어지는 이유는 그가 유덕(有德)한 자이기 때문이었으므로, 제왕이 제왕으로서 마땅히 갖추어야 할 덕을 잃어버리고 그에 따라 민심(民心)이 이반하게 되면 천(天)은 제왕에게서 명(命)을 거두어 들여 다른 유덕한 자에게 명을 내린다. 이와 같이 천명이 혁신되어 대체되는 것이 혁명이다.

 

이러한 혁명 이론은 『주역(周易)』에서 그 원시적 형태를 찾아볼 수 있지만, 그것을 체계화된 이론으로 제시한 것은 맹자(孟子)였다. 맹자는 탕무방벌(湯武放伐)에 관하여 제선왕(齊宣王)이 신하가 그 임금을 죽여도 좋으냐고 물었을 때, "인(仁)을 해치는 자를 적(賊)이라 하고 의(義)를 해치는 자를 잔(殘)이라 하며, 잔적지인(殘賊之人)을 일부(一夫)라 합니다. 일부인 주(紂)를 죽였다는 말은 들었어도 임금을 죽였다는 말은 아직 듣지 못하였습니다"라고 대답하여 민심과 유리된 제왕은 자기 정권의 정당성을 부여받지 못한다는 사실을 분명히 하였다. 탕무방벌론이라고 하는 이 기사에서 맹자는 현실적으로 제왕인 걸(桀)·주(紂)의 정권을 탈취한 탕왕과 무왕의 행위를 걸·주 정권의 비도덕성에 근거하여 합리화시키고 있으며, 그것이 비도덕적인 정권에 대한 찬탈을 용인하는 혁명사상으로 발전한 것이다. 이러한 맹자의 혁명사상은 사실 그의 위민의식(爲民意識)에 기초한 것이며, 또한 위민을 구현하기 위한 보완적 방법이었다. 즉 백성이 나라의 근본이라고 하는 민본주의(民本主義)에 입각한 맹자의 위민의식은 백성의 온존을 위협할 수 있는 부도덕한 정권을 견제할 필요가 있었고, 그러한 필요로 말미암아 당연히 혁명론으로 전개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맹자의 이론은 "임금이 신하를 토개(土芥)처럼 여기면 신하는 임금을 원수처럼 여긴다"라는 말이나 "반복해서 간(諫)해도 듣지 않으면 임금을 갈아치운다[易位]"라는 말에서도 잘 나타난다. 맹자는 명분론을 내세워 혁명의 가능성과 그 타당성을 배제하지는 않았던 것이다.

 

맹자는 이 혁명의 근거를 민의(民意)를 기본으로 하는 천명에 두고 있다. 그것은 『서경(書經)』의 정치이념과 궤를 같이하는 것이며, 이때의 천도관(天道觀)은 집단적·보편적 권위의 실재를 지향하는 중국 고대의 전통적 천도관의 공통적 성격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천자가 하늘을 대행하여 백성들을 통치한다는 간접적 천치주의(天治主義)에서는 천자의 개폐(改廢)가 천의 의지에 달려 있었다. 이 무언(無言)의 천의 의지를 아는 방법은 바로 민의(民意)를 통해서였으며, 따라서 민심이 곧 천심(天心)이란 말과 같이 민의가 곧 천의(天意)의 구실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맹자의 혁명론은 민본주의와 직접 연결된다. 이러한 혁명의 방법으로는 천자가 그 자손에게 천위(天位)를 세습하지 않고 다른 성의 유덕자에게 양위하는 방식, 곧 선양(禪讓)과 덕을 잃어버린 천자를 무력으로 추방, 또는 토벌하는 방식, 곧 방벌(탕왕·무왕의 경우)이 있다.

 

다만 맹자의 혁명론에서는 혁명을 일으키는 주체의 도덕성이 엄격히 요구된다. 즉 탕왕·무왕과 같이 완결된 인격을 가진 사람에 의해서 혁명이 추진되었을 때만이 그 혁명을 정당화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왕면(王勉)은 "맹자의 말은 아랫사람이 탕·무와 같이 어질고, 윗사람이 걸·주와 같이 포악해야만 가한 것이요, 그렇지 않으면 찬시(簒弑)의 죄를 면하지 못할 것이다"라고 하기도 하였다.

 

孟子 卷之二 梁惠王章句下 八


齊宣王이 問曰、 湯이 放桀하시고 武王이 伐紂라하니  有諸잇가

孟子ㅣ 對曰、於傳에 有之하니이다

曰、臣弑其君이 可乎잇가

曰、賊仁者를 謂之賊이오 賊義者를 謂之殘이오 殘賊之人을 謂之一夫니

聞誅一夫紂矣오 未聞弑君也케이다

 

제선왕이 물어 말하기를 탕이 걸을 제거하고 무왕은 주를 정벌하였다 하니 그런 일이 있습니까?

맹자가 대답해 말하기를 전하는 말에 의하면 있습니다.

왕이 말하기를 신하로서 임금을 시해하는 것이 가합니까?

맹자가 말하기를, 인을 해치는 사람을 적이라 이르고 의를 해치는 사람을 잔이라 이르며 잔적하는 사람을 한 지아비라 이르나니 한 지아비인 주를 처형했다는 말은 들었지만 임금을 시해했다는 말은 듣지 못했습니다.

양혜왕장구하팔.hwp
0.01MB
역성혁명.hwp
0.02MB

'한문 > 한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계지덕(木鷄之德)  (0) 2012.07.22
四美圖  (0) 2012.06.04
풍수지탄  (0) 2012.05.07
학이시습지  (0) 2012.05.03
토포악발  (0) 2012.04.24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