孟子 盡心章句上 제24장
孟子曰 孔子登東山而小魯하시고 登泰山而小天下하시니 故로 觀於海者에 難爲水요 遊於聖人之門者에 難爲言이니라
맹자 왈, 공자는 동산에 올라 노나라를 작다고 여기시고, 태산에 올라 천하를 작다고 여기셨다. 고로 바다를 본 자에게는 (어지간한 건) 물로 삼기가 어려우며, 성인의 문하에서 논 자에게는 (어지간한 건) 말로 삼기가 어렵다고 했다.
此는 言聖人之道大也이라 東山은 蓋魯城東之高山이오 而太山則又高矣라 此는 言有處益高則其視下益小요 所見旣大則其小者不足觀也이라 難爲水難爲言은 猶仁不可爲衆之意라
이는 성인의 도가 큼을 말한 것이다. 동산은 대개 노나라 성 동쪽의 높은 산이요, 태산은 또한 높다. 이는 말하건대, 처한 곳이 더욱 높으면 그 아래를 봄이 더욱 작아지며, 본 바가 이미 크다면 그 작은 것은 족히 보지 못한다는 것이다. 난위수난위언,은 인은 가히 무리로도 당할 수 없다는 뜻과 같다.
觀水有術하니 必觀其瀾이니라 日月이 有明하니 容光에 必照焉이니라
물을 보는 데는 방법이 있으니, 반드시 그 물결을 보아야 한다. 해와 달은 밝음이 있으니, 빛을 용납하면 반드시 거기에 비춘다.
此는 言道之有本也이라 瀾은 水之湍急處也이라 明者는 光之體요 光者는 明之用也이라 觀水之瀾則知其源之有本矣요 觀日月於容光之隙無不照 則知其明之有本矣이니라
이는 도의 뿌리가 있음을 말한다. 란은 물의 여울이 급한 곳이다. 명은 빛의 실체요, 광은 명의 쓰임이다. 물결을 봄은 그 바탕의 뿌리가 있음을 아는 것이며, 해와 달이 빛을 용납하는 틈에 비추지 않음이 없음을 본다면, 그 밝음의 근본이 있음을 알 것이다.
流水之爲物也이 不盈科면 不行하나니 君子之志於道也에도 不成章이면 不達이니라
흐르는 물이라는 것은 웅덩이를 채우지 않으면 흘러가지 않는다. 군자가 도에 뜻을 둠에도 문장을 이루지 않고서는 통달하지 못한다.
言學當以漸이라야 乃能之也이라 成章은 所積者厚而文章外見也이라 達者는 足於此而通於彼也이라. 此章은 言聖人之道大而有本하니 學之者必以其漸하야 乃能至也이라
말하건대, 배움은 마땅히 차츰차츰하여야 마침내 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성장은 쌓은 바가 두터워 문장이 밖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達은 이에 족하여 저에 통함이다. 이 장은 말하건대, 성인의 도가 크고 뿌리가 있으니, 배우는 자는 반드시 그 차츰차츰으로 해야 마침내 능히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스크랩] 祭十二郞文(제십이랑문)/韓愈(한유) (0) | 2014.06.04 |
---|---|
[스크랩] 방송대 중국명문감상( 2~3) 陳情表(진정표) (0) | 2014.06.04 |
정지상과 김부식 (0) | 2012.11.29 |
물 예찬 (0) | 2012.11.25 |
노자의 스승 상용의 가르침 (0) | 2012.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