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뚱이에 낀 더러운 때를 씻는다는 것은 마음을 깨끗하게 하고 싶다는 꿈을 말하고, 뜨거운 것을 만나면 서늘한 것을 찾게 된다는, 사람마다 갖고 있는 본능적 바람을 말하고 있으니- '성선설'이 나오게 되는 뒷그림임.
<'김성동 천자문 쓰기'를 옮김>
體有垢하면 則必思澡浴하고 手執熱하면 則必求淸凉이라.
몸에 때가 있으면 반드시 목욕할 것을 생각하고 손에 뜨거운 것을 잡으면 선선해지기를 원한다.
誅斬賊盜 捕獲叛亡-주참적도 포획반망 (0) | 2012.12.16 |
---|---|
驢騾犢特 駭躍超驤-여라독특 해약초양 (0) | 2012.12.16 |
牋牒簡要 顧答審詳-전첩간요 고답심상 (0) | 2012.12.15 |
稽顙再拜 悚懼恐惶-계상재배 송구공황 (0) | 2012.12.15 |
嫡後嗣續 祭祀蒸嘗-적후사속 제사증상 (0) | 2012.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