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신중도

불교/일반

by 빛살 2013. 3. 29. 06:37

본문

신중도(神衆圖)

 

[정의]

부처의 정법(正法)을 수호하는 신들을 그린 불화(佛畵)

 

[유래 및 발달 과정]

신중(神衆)은 원래 인도의 재래신들이 부처의 자비심에 감동되어 불교에 귀의한 후, 불법의 유통과 옹호를 맹세한 성중(聖衆)을 말한다. 부처가 법을 설할 때 이러한 신들이 등장하는데, <화엄경>과 <법화경>을 설할 때 나타나는 팔부중(八部衆)이 대표적이다. 신중을 탱화(幀畵)로 모시고 있는 단을 신중단(神衆壇)이라고 한다.

신중단에 봉안된 신중도의 호법신중은 부처님이 <화엄경>을 설할 때 화엄도량에 모였던 여러 신들을 일컫기 때문에 화엄신중(華嚴神衆)이라 부른다. 조선후기에 성립된 의식집인 <석문의범(釋門儀範)>에는 104명의 신들이 등장하는데 큰 절의 신중탱화에는 104위가 모두 모셔져 있지만 작은 탱화에는 줄여서 대표적으로 몇 위만 모시고 있다.

불교의 수용과 함께 신중신앙이 전래되었으며 예로부터 범천(梵天), 제석천(帝釋天), 인왕(仁王), 사천왕(四天王), 팔부중(八部衆), 십이지신(十二支神) 등이 주로 신앙되어 조각과 회화 등으로 많이 조성되었으며 고려시대부터는 주로 불전(佛殿), 탑(塔), 부도(浮屠) 등의 외호상(外護像)으로 조형된 것이 많다. 조선시대 경우 대웅전, 극락전을 비롯한 모든 불전에 봉안되는 필수적인 불화로서 불전 내부의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모셔진다.

 

신중도는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는데

첫째는 대예적금강신을 중심으로 왼쪽에 제석천, 오른쪽에 대범천, 아래쪽에 동진보살을 도설하고 주위에 성군(星君), 명왕(明王), 천녀(天女) 등을 묘사한 불화

둘째는 제석천과 대범천, 동진보살을 중심으로 한 불화

셋째는 제석천, 대범천을 중심으로 그린 불화, 제석탱화라고도 한다.

넷째는 동진보살을 중심으로 그린 불화이다. 동진보살을 중심으로 좌우상하에 팔부신장과 십이지신장 등 신장만을 묘사하므로 신장탱화라고도 한다.

 

[104위 화엄신중도해(華嚴神衆圖解)]

104위 화엄 신중도는 가장 많은 신중을 표현한 것으로, 조선시대에 이르러 신중신앙에 민간신앙이 강하게 결합되면서 '화엄경 약찬게(華嚴經略纂偈)'에 있는 39위의 신중에 더 많은 신들이 보태진 것이다. 현재 조성되어지는 104위 신중의 명칭과 성격을 <석문의범>에서는 상단, 중단, 하단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상단>

예적금강을 중심으로 8대금강, 4보살, 10대명왕 등 밀교적인 신으로 구성된다(23位).

팔대금강과 4보살은 대승불교 후반기의 밀교(密敎)의 경전들에서 나오는 금강과 보살들로 초기 경전과 초기 대승경전에서도 보기 어렵다.  

 

1. 예적금강(穢跡金剛)

오추사마(烏蒭沙摩 웃추슈마의 음역), 부정금강(不淨金剛), 화두금강(火頭金剛)이라고도 한다. 더러운 것을 없애므로 예적부정이라 하고, 온 몸에서 지혜의 불길을 내뿜기에 화두(火頭)라 한다. 형상은 눈을 똥그랗게 뜬 엄한 상을 하고 있으며, 3면(面), 3목(目), 8비(譬)로서 독사를 몸에 감거나 잡고서 법륜을 굴리면서 온 몸에 불길이 치솟는 형상으로 나타난다. 여래가 신통으로 나타난 화현(如來化現圓滿神通)이라 하고, 8금강을 데리고 불법을 호위하며 중생을 교화하는 분이다.

 

* 8금강

금강은 원래 팔대 보살이 화현하여 나타난 8대 명왕(明王)을 말한다. 명왕이란 보통의 방법으로 교화하기 어려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서 분노의 상으로 나타난 존(尊)을 말하며, 8대 보살이 변해서 나타난 8대 명왕은 다음과 같다.

① 마두명왕(馬頭明王) - 관세음보살의 화신.

② 대륜명왕(大輪明王) - 미륵보살의 화신.

③ 군다리명왕(軍茶利明王) - 허공장보살(虛空藏菩薩)의 화신.

④ 보척명왕(步擲明王) - 보현보살의 화신.

⑤ 강삼세명왕(降三世明王) - 금강수보살(金剛壽菩薩)의 화신.

⑥ 대위덕명왕(大威德明王) - 문수보살의 화신.

⑦ 부동명왕(不動明王) - 제개장보살(除蓋障菩薩)의 화신.

⑧ 무능승명왕(無能勝明王) - 지장보살의 화신.

 

이와 같은 보살들이 금강으로 화현할 때 나타나는 8대 금강은 다음과 같다.

2. 청제재금강(靑除災金剛) - 중생의 전생 재앙을 없애준다.

3. 벽독금강(碧毒金剛) - 유정(有情)들의 독을 파해준다.

4. 황수구금강(黃隨求金剛) - 모든 공덕을 주재하여 소망을 성취시켜 준다.

5. 백정수금강(白淨水金剛) - 보장(保藏)을 주재하여 열뇌(熱惱)를 없애 준다.

6. 적성화금강(赤聲火金剛) - 부처님을 보면 몸에서 빛을 내어 바람처럼 달려간다.

7. 정제재금강(定除災金剛) - 지혜의 눈으로 혼란의 경계를 물리치고 재앙을 없애준다.

8. 자현신금강(紫賢神金剛) - 굳게 닫혀 있는 마음 땅을 파헤쳐 중생을 깨우친다.

9. 대신력금강(大神力金剛) - 물을 따라 중생을 조절하여 지혜를 성취하게 한다.

 

 

금강역사란 탑 또는 사찰의 문 양쪽을 지키는 수문신장(守門神將)의 역할을 한다. "근본비나야잡사경(根本毘奈耶雜事經)"에 의하면, 급고독장자(給孤獨長者)가 기원정사(祇圓精舍)를 세워 채화(彩畵)로서 장엄하려고 석가모니 부처님께 물었을 때, 석가모니 부처님이 "문의 양쪽에 집장(執杖)의 야차(夜叉)를 만들라"고 하신 것에 유래한 것이다. 금강신(金剛神) ·집금강(執金剛) ·금강수(金剛手) ·금강야차(金剛夜叉)라고도 한다.

법당 쪽에서 보았을 때, 사찰문의 오른쪽에는 나라연금강, 왼쪽에는 밀적금강이다. 나라연금강역사(那羅延金剛力士)는, 그 힘의 세기가 코끼리의 100만 배나 된다고 한다. 이 금강은 입을 크게 벌려 ‘아’(범어의 첫 글자)하는 소리를 내는 모습을 하고 있어 '아금강역사'라 하며, 공격하는 자세를 취하고 있어 출발 시점에서의 진취적으로 나아감을 뜻한다. 밀적금강역사(密跡金剛力士)는, 손에 금강저(金剛杵: 번개를 상징)를 쥐고 있고, 항상 부처님을 호위하는 5백의 야차신을 거느리고 있으며, 부처님의 비밀스런 사적(事蹟)을 모두 듣겠다는 서원을 세웠으므로 밀적이란 이름을 얻었다. 입을 굳게 다문 채 방어하는 자세를 취하고 있어 훔금강역사(‘훔’은 범어의 끝 글자)라고 한다. 이 금강이 방어형 자세를 취하는 것은 소멸의 단계에서 거두어 들이는 것을 상징한다. 석굴암 입구의 금강역사상이 유명하다.

 

 

 

* 4대 보살

10. 경물권보살(警物眷菩薩) - 갖가지 방편으로 깨달음을 일깨운다.

11. 정업색보살(定業色菩薩) - 발달된 지혜와 안정된 경계로서 복을 닦게 한다.

12. 조복애보살(調伏愛菩薩) - 중생 따라 신통을 나타내어 잘못된 사람을 조복한다.

13. 군미어보살(群迷語菩薩) - 청정한 음성으로 널리 깨달음을 준다.

 

* 10대 명왕 - 천부의 신들로서 3보(三寶), 국토와 인민을 옹호한다. 특히 밀교에서 명왕은 대일여래(大日如來)의 영을 받드는데, 엄하고 무서운 형상으로 나타나 모든 마군(魔軍)을 제압한다고 한다.

14. 염만달가대명왕(焰曼怛迦大明王) - 동방을 지킨다.

15. 발라니야달가대명왕(鉢羅尼也怛迦大明王) - 남방을 지킨다.

16. 발납마달가대명왕(鉢納摩怛迦大明王) - 서방을 지킨다.

17. 미걸라달가대명왕(尾乞羅怛迦大明王) - 북방을 지킨다.

18. 예적탁기라야대명왕(穢跡托怾羅惹大明王) - 동남방을 지킨다.

19. 이라능라대명왕(尼羅能拏大明王) - 서남방을 지킨다.

20. 마하마라대명왕(摩何摩羅大明王) - 서북방을 지킨다.

21. 아좌라낭타대명왕(阿左羅曩他大明王) - 동북방을 지킨다.

22. 박라반다라대명왕(縛羅播多羅大明王) - 하방을 지킨다.

23. 오니쇄작걸라박리제대명왕(烏尼灑作乞羅縛里帝大明王) - 상방을 지킨다.

 

<중단>

범천, 제석천왕, 사천왕, 8부중 등 원시불교의 호법신과 성군(星君)등 중국 도교의 신들이 주류로서 각 명칭은 다음과 같다.(38位)

 

24. 범천왕(梵天王) - 초선천(初禪天), 즉 범중천, 범보천, 대범천의 우두머리를 범천(梵天)이라 한다. 범천(梵天, Brahma)은 본래 인도의 브라흐만(梵)에서 유래한다. 힌두에서는 우주의 통일적인 최고 원리인 브라흐만이 인격신(人格神)으로 화현하여 최고 남성신이 되었고, 이 브라흐만이 최고신으로서 우주를 창조하였다는 신성을 갖게 되었다. 그러한 인도 전통의 신을 불교의 호법신으로 수용하여 들인 것이 범천(梵天)이다. 불교의 세계관에서 6욕천을 포함한 욕계의 육도(六道) 위에 색계와 무색계가 있고, 색계는 초선천, 2선천, 3선천, 4선천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초선천의 4천은 모두 범천을 그 내용으로 한다. 즉 욕망을 끝내고 나서 바로 위(上)의 세계의 주인공이다.

25. 제석천왕(帝釋天王) - 바수루나천자를 좌보처로, 이사나천자를 우보처로 하며, 부처님의 감화를 입어 불교에 귀의한 뒤 정법을 수호하고 부처님과 그 제자를 옹호하겠다는 서원을 세웠다. 원래의 명칭은 '석가제환인드라'이다. '석가'는 능(能)의 뜻이고, '제환'은 천(天)의 뜻이며, '인드라'는 주인(主人)의 뜻이다. 즉, '능히 하늘의 주인이다'는 뜻이다. 33天이라고도 하는 도리천(忉利天)의 주인으로, 도리(忉利)는 산스크리트어를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것으로 33이란 뜻이다. 수미산의 정상에 있으며 사방에 봉우리가 있고, 그 각각에 8천이 있기 때문에 32天, 여기에 제석천을 더하여 33天이다. 그는 선견성(善見城)의 수승전에 살면서 수미산의 사천왕을 거느리며, 백면(白面)의 보살상으로 조성된다.

26. 비사문천왕(毘沙門天王) - 북방을 지킨다. 재복, 부귀(富貴)를 맡고 있으며 손에는 비파를 들고 있다. 야차의 주인이고 다문천왕(多聞天王)이라고도 한다.

27. 지국천왕(持國天王) - 동방을 지킨다. 오른손에는 칼을 들고 왼손은 허리를 짚고 있거나 손바닥에 보석을 올려놓고 있는 형상을 취하고 있다. 용과 사람의 피를 빨아 먹고 사는 비사사(毘舍闍)라는 아귀를 거느리고 있다.

28. 증장천왕(增長天王) - 남방을 지킨다. 오른손에는 용을 쥐고 왼손에는 여의주를 쥐고 있으며 갑옷으로 단단히 무장을 하고 있다. 그의 권속으로는 생김새가 달걀과 같이 길쭉하며 사람의 정귀를 빨아먹고 산다는 부단나(富單那)와 아귀의 두목인 ‘페러다’를 거느리고 있다.

29. 광목천왕(廣目天王) - 서방을 지킨다. 머리에 붉은 관을 쓰고 갑옷을 입었는데 오른손에 삼차극(三叉戟 - 三枝槍)을 들고 왼손에는 보탑(寶塔)을 들고 있다. 부하로 부단나(富單那)와 건달바(乾達婆)가 있는데 건달바는 육체가 죽은 뒤 다른 육신을 받아서 태어나기 전의 영혼신(靈魂神)이며 술과 고기를 먹지 않고 향기만 맡고 사고 음악의 신이다.

30. 일궁천자(日宮天子) - 면류관을 쓰고 두 손으로 규(圭)를 들고, 낮의 만물 생장을 주관하는 신이다.

31. 월궁천자(月宮天子) - 면류관을 쓰고 손에는 규(圭)를 들고, 밤부터 새벽까지 청량한 밤의 일을 주관하는 신이다.

32. 금강밀적(金剛密跡) - 절에 들어가는 문이나 전각의 입구 좌우에 서서 불법을 수호한다. 무장을 하고 손에 금강저를 들기도 하며, 나체상으로 무언가를 내리치려는 분노상으로 나타난다. 불법을 보호하는 제천신(諸天神)의 통칭이다.

33. 마혜수라천왕(摩醯首羅天王) - 색계의 정상에 사는데, 대천세계(大千世界)의 주인으로 대자재천(大自在天)이라 이름 한다. 세 개의 눈(三目), 여섯 개의 팔(六臂)에 일(日), 월(月)을 들기도 하고 연화(蓮花), 무기 등의 지물을 들고 있으며 가슴과 팔을 드러내고 있는 백면의 보살상이다.

34. 산지대장(散脂大將) - 북방 비사문천왕 휘하의 8장(八將)의 하나로서 24부중을 통솔하고 세상을 순행하며 선과 악을 상벌한다.

35. 대변재천왕(大辯才天王) - 노래와 음악을 맡은 여신으로, 걸림 없는 변재(辯才)가 있어 불법을 널리 유포한다.

36. 대공덕천왕(大功德天王) - 길상천(吉祥天)을 말한다. 구하는 것을 마음대로 승화시켜 주는 대공덕의 여신이다.

 

 

37. 위태천신(韋駄天神, 童眞菩薩) - 불법을 수호하는 신으로, 본래는 시바의 아들로 태어나 하늘 군대의 장군이 된 힌두교의 신이다. 사천왕 중 남방증장천왕이 거느리는 8대 장군의 하나이며, 사천왕의 부하들인 32대장을 대표하는 수령이다. 부처가 열반하였을 때 속질귀(速疾鬼)라는 나찰이 부처의 치아를 훔쳐 달아나자 쫓아가 되찾았다는 전설이 있을 정도로 발이 빠르다.

위태천이라는 이름은 중국의 실존인물인 위장군과 혼동해서 생긴 이름이라고도 하고 인도에 침입한 알렉산더왕의 이름이 와전되었다는 설도 있다. 동진보살(東眞菩薩)이라고도 불리우는데, 시바의 아들이라는 의미에서 동자라는 개념이 붙은 것이다.

제석천과 더불어 불법의 수호신으로 부처가 세상에 나타날 때마다 먼저 설법을 청하여 언제나 부처를 오른편에 모신다고 한다. 또 불경을 간행할 때 동진보살상을 새겨넣어 경전 수호의 상징으로 삼는 경우가 많다.

손에는 금강저를 들고 갑옷과 봉황의 깃털로 장식한 투구를 쓴 채 미소를 짓고 있다. 24위나 39위 탱화에서는 중심축이 되며, 더러는 마혜수천이나 제석천과 함께 중심을 이루기도 한다.

 38. 견뇌지신(堅牢地神) - 견뇌지천이라고도 하는데, 재보(財寶)를 구하고 각종 질병을 치료하며 원적(怨敵)을 굴복시키고 각종 이론(異論)를 제정한다고 한다. 견로지신.

39. 보리수신(菩提樹神) - 보리수를 신격화한 것으로 인도에는 이 보리수 신앙이 크게 유행하고 있다.

40. 귀자모신(鬼子母神) -아리제모대나찰제신중이다. 아리제모는 귀자모(鬼子母)이고, 나찰의 원명은 나찰바(羅刹婆)이다. 나찰바는 원래 고대 인도의 토착민족으로 아리아인에게 인도가 정복당한 후에 악인(惡人), 악사(惡事)를 당하게 되면 모두 나찰(羅刹)이라고 이름하였으므로, 나찰이 바로 악귀의 이름이 되었다.

41. 마리지천(摩利支天) - 마리지천은 마리지보살이라고도 한다. 태양이 뜨기 전 신력(神力)을 갖는 천신이다. 병란의 재화를 당할 때 이름을 부르면 재난에서 구해준다고 한다.

42. 바갈라용왕(娑竭羅龍王) - 함해(鹹海)의 용왕으로 비장(秘藏)의 용왕들 중의 우두머리이다. 비와 바람을 일으키는 신으로, 인도 신화에서 뱀을 신격화한 동물로서 표현된다.

43. 염마라왕(閻摩羅王) - 사후세계를 지배한다.

44. 자미대제(紫微大帝) - 북극에는 삼원(三垣)이 있는데 자미원(紫薇垣)이 그 우두머리이며, 모든 별을 총지휘하고 있는 북극의 진군(眞君)이다. <진서>에서 '자미원십오성(紫薇垣十五星)을 자미라고도 하는데 천제의 자리이며 천자가 기거하는 곳이다.'라고 하였다.

45. 탐랑태성군(貪狼太星君) - 자손들에게 복을 내려준다.

46. 거문원성군(巨門元星君) - 장애와 재난을 없애준다.

47. 녹존정성군(祿存貞星君) - 업장을 소멸시켜 준다.

48. 문곡유성군(文曲紐星君) - 구하는 바를 모두 얻게 해준다.

49. 염정강성군(廉貞綱星君) - 백 가지 장애를 없애 준다.

50. 무곡기성군(武曲紀星君) - 복덕을 두루 갖추게 해 준다.

51. 파군관성군(破軍關星君) - 수명을 연장시켜 준다.

52. 외보성군(外輔星君) - 북두구진(北斗九辰) 중 제8 동명 좌 보성군(칠성 외에 좌보, 우필이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볼 수가 없다.)

53. 내필성군(內弼星君) - 북두구진(北斗九辰) 중 제9 운광 우 필성군(칠성 외에 좌보, 우필이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볼 수가 없다.)

54. 개덕진군(開德眞君) - 위쪽 별로 빈곳을 세세히 비추어 어짊을 열어주는 참별.

55. 사공성군(司空星君) - 중간 별로 여섯 인정 베풀며 빈 하늘을 맡아 계시는 거룩한 별.

56. 사록성군(司祿星君) - 밑의 별로 사악한 관리들의 피해입지 않도록 해주는 거룩한 별.

57. 28수제대성군(二十八宿諸大星君 - 스물여덟 별에 두루 머물며 가지런히 빛나는 모든 거룩한 별들.

 

* 44~57은 무수한 별들을 신격화한 것으로 중국의 도교 사상이 불교에 습합되어 나타난 것이다.

 

 

58. 아수라왕(阿修羅王) - 천룡8부(天龍八部)의 하나이다. 아수라는 범어의 음역으로 무단(無端)이라는 뜻이다. 인도에서는 '절대령', '생명 있는 자' 등을 의미한다. 6도(六道) 가운데 아수라도의 주인공이 되었다. 다른 8부중(八剖衆)과는 달리 팔이 여럿이며, 손에는 해와 달을 잡고 있고, 투쟁의 신으로 묘사된다.

59. 가루라왕(迦樓羅王) - 가루라(Garuda)는 새벽 또는 태양을 신격화한 상상의 새로 천룡8부(天龍八部)의 하나이다. 3목엄상(三目嚴相)으로 새 중의 왕이며 뱀이나 용을 잡아먹고 산다고 한다. 금시조(金翅鳥)라고 표현되며 가릉빈가(迦陵頻伽)의 모습과 유사하다.

 

<가릉빈가>迦陵頻伽/歌羅頻伽, Kalavinka

불경에 나오는 상상의 새.

산스크리트로 칼라빈카의 음사(音寫)이다. 아미타경(阿彌陀經)》 《정토만다라(淨土曼茶羅)등에 따르면 극락정토의 설산(雪山)에 살며, 머리와 상반신은 사람의 모양이고, 하반신과 날개··꼬리는 새의 모습을 하고 있다. 긴나라라고 칭하기도 하며 팔부신중에 들어간다. 건달파와 친하며 마후라가와는 비슷한 역할을 하나 서로 대립하는 축에 속한다(뱀과 새의 대립).

자태가 매우 아름답고, 소리 또한 묘하여 묘음조(妙音鳥호음조(好音鳥미음조(美音鳥)라고도 하며, 극락에 깃들인다 하여 극락조라 부르기도 한다. 몸체에는 비늘이 있으며, 머리에는 새의 깃털이 달린 화관을 쓰고 악기를 연주하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60. 긴나라왕(緊那羅王) - 긴나라(Kimnara)는 천룡8부(天龍八部)의 하나이다. 인비인(人非人)으로 표현되며 설산(雪山)에 산다. 미묘한 음성으로 노래하고 춤추며 일체의 중생을 감동시키는 음악의 신이다.

61. 마후라가왕摩喉羅伽王) - 천룡8부(天龍八部)의 하나이다. 큰 배와 가슴으로 기어간다고 하여 뱀을 신격화한 것으로 생각된다. 사람의 몸에 뱀의 머리를 하고 있거나 머리에 사두(蛇頭)를 얹고 있다. 땅 속의 모든 요귀를 쫓아내는 임무를 수행한다.

 

* 천룡팔부 - 팔부중(八部衆). 팔부귀중(八部鬼衆). 불법을 지키는 여덟 신장. 천(天), 룡(龍), 야차(夜叉), 건달바(乾達婆), 아수라(阿修羅), 가루라(迦樓羅), 긴나라(緊那羅), 마후라가(摩睺羅伽)를 이른다.

 

<하단>

인도와 한국의 토속신이 함께 표현되는 다양한 성격의 신들이다.(43위)

 

62. 호계대신(護戒大神) - 부처님의 계를 받은 사람들을 옹호한다.

63. 복덕대신(福德大神) - 수(壽), 부(富) 등 5福을 관장하고 있는 신이다.

64. 토지신(土地神) - 절의 경내를 수호하는 신이다.

65. 도량신(道場神) - 도량을 지키는 신이다.

66. 가람신(伽藍神) - 절을 수호하는 신이다.

67. 옥택신(屋宅神) - 집을 지키는 신이다.

68. 문호신(門戶神) - 문을 수호하는 신이다.

69. 주정신(主庭神) - 뜰을 지키는 신이다.

70. 주조신(主竈神) - 부엌을 지키는 신으로 좌우 협시로 땔감을 준비하는 담시역사와 밥을 짓는 조식취모가 있다. 항상 선, 악을 분명하게 살피고 사람의 일을 관찰한다. 竈王神.

71. 주산신(主山神) - 산의 주인으로 만 가지 덕을 갖추고 뛰어난 성품을 가지고 계신 분이다. 그의 권속으로는 후토성모, 오악제군, 팔대산왕, 안제부인, 보덕진군 등이 있다.

72. 주정신(主井神) - 우물신이다.

73. 청측신(圊廁神) - 화장실을 담당하는 신으로 부정한 것을 없애 중생들을 깨끗하게 하겠다는 서원을 가졌다.

74. 대애신(碓磑神) - 맷돌방아신으로 중생들에게 영양을 공급한다.

75. 주수신(主水神) - 물의 신으로, 물은 생명력과 풍요의 원천이며 만물을 소생시킨다.

76. 주화신(主火神) - 불을 담당하는 신이다.

77. 주금신(主金神) - 수(水), 화(火), 금(金), 목(木), 토(土)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물은 구름과 비를 통해 만물을 소생시키는 신으로 보고, 불은 불길을 내어 어두움을 없애주며, 금은 굳고 날카로워 베고 찌르며 빛을 보면 광명을 발하여 귀천을 자재하게 하는 보물로 이해했다. 나무는 하늘의 빛을 흡수하여 꽃이 피고 열매를 맺고 싹을 틔워서 생명의 뿌리를 이어가게 하고, 흙은 씨를 생성 발전하게 하는 덕을 가지고 있다.

78. 주목신(主木神) - 나무를 주관하는 신이다. 숲을 지킨다.

79. 주토신(主土神) - 중생들의 마음자리를 살피는 신이다.

80. 주방신(主方神) - 방향을 수호하는 신이다. 방위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공간 의식의 한 형태이다. 널리 세상 업을 관찰하고 미혹을 끊어주는 신이다.

81. 토공신(土公神) - 중생들의 고통을 구제하는 신이다.

82. 방위신(方位神) - 봄, 여름, 가을, 겨울에 한서의 차이를 결정지어 주는 신이다.

83. 시직신(時直神) - 연, 원, 일, 시를 대표하는 신이다.

84. 광야신(廣野神) - 넓은 들판을 주재하고 관리하는 신이다.

85. 주해신(主海神) - 바다의 신이다.

86. 주하신(主河神) - 물신으로서 하천신을 뜻한다.

87. 주강신(主江神) - 하천과 하천이 한데 모여 큰 강을 이루는데, 그 강을 주재하는 신이다.

88. 도로신(道路神) - 중생들이 바른 길을 다니도록 보호하는 신이다.

89. 주성신(主城神) - 성을 지키는 신이다. 보살들이 불법을 듣고 바른 마음에 안주하여 마음의 성을 수호하였기 때문이다.

90. 초훼신(草卉神) - 풀신이다. 구름처럼 꽃을 피워 묘한 빛을 나타낸다.

91. 주가신(主稼神) - 5곡신이다.

92. 주풍신(主風神) - 바람을 주관하는 신이다.

93. 주우신(主雨神) - 비신이다. 중생의 업보를 따라 이익을 베푸는 일을 담당한다.

94. 주주신(主晝神) - 낮을 주관하는 신이다.

95. 주야신(主夜神) - 밤을 지키고 창조하는 신이다.

96. 신중신(身衆神) - 생사 가운데서 중생에게 이익이 있도록 하는 신이다.

97. 족행신(足行神) - 한량없는 세월을 두고 여래를 친근 정진함으로서 운신에 자유를 얻는 신이다.

98. 사명신(司命神) - 인간의 수명을 관장하는 신이다.

99. 사록신(司祿神) - 중생의 근기에 따라 그 명예와 위신을 결정하는 신이다.

100. 장선신(掌善神) - 사람들이 착한 일을 한 것을 기록하는 신이다.

101. 장악신(掌惡神) - 사람들이 악한 일을 한 것을 기록하는 신이다.

102. 행병이위대신(行病二位大神) - 사람들이 나쁜 짓을 하면 그 벌로써 병을 주는 신이다. 罰病神. 行罰行病神.

103. 두창고채이위대신 - 두창고찰신(痘瘡痼擦神). 전염병을 주관하는 신이다. 瘟㾮痼擦神.

104. 이의3재5행대신(二儀三才五行大神) - 이의(二儀)는 천지 음약의 조화이고, 3재(三才)는 천, 지, 인이며, 5행(五行)은 금, 목, 수, 화, 토이니 이 세상 모든 것을 주재하는 신이다.

'불교 >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측오주  (0) 2013.06.05
송경의식(독경) 절차  (0) 2013.04.04
옴마니반메훔  (0) 2012.11.03
옴마니반메훔 명상  (0) 2012.11.03
티베트 불교  (0) 2012.11.03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