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두보]登岳陽樓

한문/중국한시

by 빛살 2014. 6. 15. 22:49

본문

登岳陽樓

 

昔聞洞庭水

今上岳陽樓

吳楚東南坼

乾坤日夜浮

親朋無一字

老去有孤舟

戎馬關山北

憑軒涕泗流

 

악양루에 올라

 

옛날 동정호에 대한 말을 들었더니,

오늘 악양루에 오르는구나.

오나라와 초나라가 동남쪽으로 갈라졌고,

하늘과 땅은 밤낮으로 (호수에) 떠 있도다.

친한 벗이 한 글자도 편지가 없으니,

늙어 가며 외로운 배만 있도다.

군마(軍馬)는 고향 관산의 북쪽에 있으니,

(악양루의) 난간에 기대어 눈물을 흘리노라.

 

* 岳陽樓: 중국의 3대 누각으로 동정호의 동북부 악양의 성루.

* 東南坼: 동과 남으로 갈라지고

* 日夜浮: 낮과 밤이 뜨고 지다.

* 親朋: 친척과 붕우

* 戎馬: 전장의 말. 당시 당나라는 북쪽의 토번 세력의 침입으로 서북 국경지대가 편안하지 못했음

* 涕泗: 울어서 흐르는 눈물이나 콧물 따위

 

*갈래: 오언율시
*연대: 두보 57세 때 768년에 지음
*표현: 감정이입(고독한 서정적 자아를 배에 빗대어 표현한 것으로 ''를 객관적 상관물이라고 한다. 객관적 상관물이란 시에서 정서와 사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찾아낸 사물(事物), 정황(情況), 사건(事件)을 이르는 말로 엘리엇(Eliot, T. S.)이 처음 사용하였다. 이 시에서도 두보는 흐르는 세월 속에서 외롭게 방황하는 자신의 처지를 직설적으로 드러내지 않고, 외로운 배라는 구체적 사물에 의탁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있다.)

-특히 3~4(함련)은 천고의 절창으로 손꼽히고 있다.

*압운: , , , ,
*구성: 선경후정(1~4: 동정호에 비치는 하늘과 땅,  5~8: 안타까움과 슬픔의 정서)

-수련: 말로만 듣던 동정호를 볼 수 있는 악양루에 오름.

-함련: 광활하고 맑은 동정호의 모습

-경련: 친구의 소식을 알 수가 없어 외로움.

-미련: 고향에 일어난 전쟁을 슬퍼함.
*제재: 악양루에 오름
*주제: 우국과 향수
*특성: 기쁨과 슬픔을 선명하게 대비하여 향수와 우국지심을 잘 표현함

 

<관련 한자성어>
수구초심(首丘初心): 여우도 죽을 때는 제가 살던 쪽으로 머리를 돌린다는 뜻으로, 근본을 잊지 않음을 가리키는 말.=호사수구(狐死首丘). 出典'禮記' 檀弓上篇 문왕(文王)과 무왕(武王)을 도와서 은()나라를 멸하고 주()나라를 일으킨 여상(呂尙) 태공망(太公望)은 제()나라에 있는 영구(營丘)에 봉해졌는데, 계속해서 다섯 대()에 이르기까지 주()의 호경(鎬京)에 반장(反葬)했다. 군자께서 이르시기를 음악은 그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바를 즐기며 예()란 그 근본을 잊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옛사람의 말에 이르되, 여우가 죽을 때에 머리를 자기가 살던 굴 쪽으로 바르게 향하는 것은 인()이라고 하였다.

太公封於營丘 此及五世 皆反葬於周 君子曰 樂樂其所自生 禮不忘其本 古之人有言曰 狐死正 丘首仁也.

 

<악양루 岳陽樓 웨양러우>

중국 후난성 예양시의 고적 예양고성 서문의 윗쪽에 있다. 아래쪽으로는 동정호가 보이며, 앞으로는 군산을 북쪽으로는 장강에 접한다. 악양루는 강남사대명루의 하나로 손꼽힌다.

악양루의 전신은 삼국시대 동오의 명장 노숙이 군사적 목적으로 만든 누각이다. 당시 오나라는 촉나라의 유비와 형주를 다투고 있었는데, 215년 노숙은 동정호의 파구(巴丘)에 주둔하며 수군을 훈련시키고, 파구성을 세우면서 열군루(閱軍樓)라는 망루를 지어 수군이 훈련하는 모습을 참관하였다. 이것이 동정호의 시초이다.

716년 당나라 때 악주의 태수 장열(張說)이 이곳을 수리하여 다시 세우면서 악양루라고 이름을 고쳐짓고, 그때부터 문인재사들의 시를 읊는 유명한 장소가 되었다.

1044년 송나라 때 등자경(藤子京)이 이곳 태수로 좌천되면서 퇴락해진 누각을 증수하게 되는데, 그때 범중엄을 초청하여 유명한 악양루기(岳陽樓記)를 짓게 한다.

현재의 건물은 1880년 청나라 광서제 때 다시 중건한 것으로 누각의 높이는 20미터에 삼층 목조 건물로 되어 있다. 

'한문 > 중국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보]江南逢李龜年  (0) 2014.06.16
[두보]江村  (0) 2014.06.15
[두보]蜀相  (0) 2014.06.15
[두보]畵鷹  (0) 2014.06.15
[두보]愁  (0) 2014.06.15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