江南逢李龜年
岐王宅裏尋常見
崔九堂前幾度聞
正是江南好風景
落花時節又逢君
기왕의 집 안에서 (이구년을) 늘 보았더니
최구의 집 앞에서 (명창을) 몇 번을 들었던가?
참으로 이 강남의 풍경이 좋으니
꽃 지는 시절에 또 너를 만나 보는구나.
<구성>
기(起): 당나라 현종의 아우인 기왕의 집에서 당대의 명창인 이구년과 대면이 잦았던 화려했던 지난날을 회상하고 있다.
승(承): '들었던가'의 객체는 이구년의 노래이므로, 명성을 떨치던 가객 이구년의 화려했던 시절을 회상하고 있다.
전(轉): 아름답게 펼쳐진 자연적 배경은 작자의 내면적 고뇌를 더욱 고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결(結): '落花時節'은 현실적인 계절(낙화의 계절)의 배경이면서, 동시에 인간의 종말-인간의 영고성쇠榮枯盛衰-를 암시하는 중의적 표현이다. 두보가 오랜 방랑 생활 끝에 이구년과의 뜻밖의 해후로 그의 화려했던 과거를 회상하고 황혼기에 접어든 서로를 돌아보며 인생 무상을 뼈저리게 느끼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구년(李龜年): 당의 현종(玄宗) 때의 명창(名唱)
*기왕(岐王): 현종의 아우로 이름은 이범(李範)
*최구: 최척(崔滌). 당시 비서감(秘書監)을 지냈다.
<요점 정리>
*갈래: 칠언절구(七言絶句)
*연대: 두보가 59세(770년) 때 지음
*표현: 대구법(대우, 대장)
*제재: 이구년과의 만남
*주제: 인생무상(人生無常)
<해제>
770년 늦은 봄, 59세 때의 작품. 담주에서 지었다. 두보는 소년 시절에 기왕 이범과 비서감 최척의 저택에서 여러 번 이구년의 노래를 들은 일이 있었다. 안사의 난이 일어난 뒤에 이구년 역시 여러 지역을 유랑하다가, 마침 두보와 비슷한 시기에 장사로 흘러들게 되었다. "바로 강남의 풍경이 아름다운 지금"이라는 말은 몰락한 두 사람의 신세와 강렬한 대비를 이루고 있으며, "꽃 지는 시절"은 쇠락한 나라와 서로 어울린다. 짧은 몇 마디에 격렬한 세상의 변화를 담은 이 구절은 태평성대에서 쇠락의 길로 걸어간 당나라 몰락사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