榮業所基 籍甚無竟
2012.07.25 by 빛살
반야심경17-운허스님 한글반야심경
2012.07.23 by 빛살
반야심경16-표준한글반야심경
篤初誠美 愼終宜令
목계지덕(木鷄之德)
2012.07.22 by 빛살
방례초본서(邦禮艸本序)
2012.07.15 by 빛살
민화
2012.06.07 by 빛살
四美圖
2012.06.04 by 빛살
榮業은 所基이오 籍甚無竟이니라 *籍 ① 문서 적 書籍 ② 온화할 자 藉와 통용 *藉 ① 깔개 자 ② 온화할 자 ③ 왁자할 적 공적 쌓은 일을 피어나게 하는 터전이 된다면, 훌륭해짐이 마침없으리라. 공적 쌓는 일의 터전으로 삼아야 할 것은 '자부사군(資父事君)'이라는 글귀 아래를 가리키고..
한문/천자문2 2012. 7. 25. 22:44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관자재보살이 깊은 반야바라밀다를 행할 때 다섯 가지 쌓임이 모두 공한 것을 비추어 보고 온갖 괴로움과 재앙을 건지느니라. 사리불이여, 물질이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이 물질과 다르지 않으며, 물질이 곧 공이요, 공이 곧 물질이니, 느낌과 생각과 지어감과 의식..
불교/반야심경 2012. 7. 23. 09:55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관자재보살이 깊은 반야바라밀다를 행할 때, 오온이 공한 것을 비추어 보고 온갖 고통에서 건지느니라. 사리자여! 색이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이 색과 다르지 않으며, 색이 곧 공이요 공이 곧 색이니, 수 상 행 식도 그러하니라. 사리자여! 모든 법은 공하여 나지도 멸..
불교/반야심경 2012. 7. 23. 09:52
篤初는 誠美하고 愼終은 宜令이라 첫발 뗄 때 온 힘을 쏟는 것이 참으로 아름답고, 끝맺음을 삼가면 마땅히 훌륭하게 될 것이다. 어버이를 섬기는 자세를 말하고 있으니 - 어렸을 적 어버이를 따르던 그 마음을 자라면서도 잊지 말라는 뜻임. '愼'은 조심스럽게 그 마음을 다 한다는 뜻이고..
한문/천자문2 2012. 7. 23. 09:30
* 목계지덕(木鷄之德) - 부드러움 속에 빛나는 강자의 힘. 자신의 감정을 완전히 통제할 줄 알고, 상대방에게 자신의 빛나는 광채나 매서운 눈초리를 보여 주지 않더라도 상대방이 쉽게 근접할 수 없는 카리스마를 발휘하는 사람을 ‘목계지덕(木鷄之德)’을 가졌다라고 한다. 紀渻子..
한문/한자성어 2012. 7. 22. 23:13
방례초본서(邦禮艸本序) * 방례초본(邦禮艸本) : 정약용(丁若鏞)이 지은 《경세유표(經世遺表)》의 원래 이름.《경세유표》는 본래 주례(周禮)의 이념과 제도를 당시의 조선 현실에 창조적으로 적용하려는 데 근본 취지가 있었다. 즉, 周 나라의 禮를 우리나라의 기본 예(邦禮)를 형성하는 ..
한문/잡록 2012. 7. 15. 12:19
민화(民畵)는 과거에 실용(생활공간의 장식이나 민속적인 관습에 따름)을 목적으로 무명인에 의하여 그려졌던 대중적인 실용화를 말한다. 또한 민화장이란 용어는 민화를 잘 그리는 사람을 말한다. 민화라는 용어를 처음 쓴 사람은 일본인 야나기 무네오시(柳宗悅, 1889녀~1961년)로, 그는 '..
카테고리 없음 2012. 6. 7. 16:03
북경으로 수학여행을 갔다온 지현이에게서 부채를 선물로 받았다. 가히 규모가 대륙적이다. 여름을 시원하게 보낼 수 있겠다는 기쁜 마음으로 쫘악 펼치니 네 명의 미인이 나를 맞이한다. 四美圖 西施挽紗 - 沈魚 昭君出塞 - 落雁 貂禪拜月 - 閉月 貴妃醉酒 - 羞花 뒤의 한시는 시간을 두..
한문/한자성어 2012. 6. 4. 1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