春望
國破山河在,
城春草木深.
感時花濺淚,
恨別鳥驚心.
烽火連三月,
家書抵萬金.
白頭搔更短,
渾欲不勝簪.
봄의 전망
나라는 망해도 산천은 그대로인가
성에는 봄이라고 초목이 우거졌구나!
시절 느꺼워 꽃에도 눈물이 흐르고
이별 한스러워 새소리에도 마음 놀란다
봉화가 석 달이나 이어지니
집에서 보내온 편지가 만금처럼 귀하다
흰 머리 긁으니 더욱 짧아져
정녕 비녀를 이기지 못할 듯
<해제>
지은이가 46세(757) 되던 해, 봉선현에서 지내고 있는 처자를 만나러 갔다가, 백수에서 안녹산의 군대에게 사로잡혀 장안에 연금되어 있을 때 지은 것이다. 안녹산의 군에게 함락되어 폐허가 된 장안의 외경 묘사와 함께, 난리로 헤어진 처자를 그리며 시국을 걱정하는 비통한 심정을 노래하고 있다. 수련은 대구적 구성으로 전쟁 뒤의 허무한 모습을 생생하게 그렸고, 함련의 '꽃과 새마저도 도리어 슬픔을 돋운다'는 표현은 우수의 깊이를 보여 준다. 경련에서는 계속되는 난리와 가족의 안부를 알 수 없음에 대한 안타까움을 그렸고, 미련에서는 고향에 돌아가지 못하는 동안에 늙고 쇠약해져 버린 자신을 한탄하고 있다.
이 시는 우국과 사향(思鄕)이라는 두 개의 감정을 하나로 융화시킨 명작으로 꼽힌다. 머리를 긁적이는 장면, 숱이 적어 비녀를 감당키 어려운 모습에서 전도를 놓고 착잡한 심정에 젖은 시인의 모습이 떠오른다.
[두보]愁 (0) | 2014.06.15 |
---|---|
[두보]石壕吏 (0) | 2014.06.15 |
[두보]旅夜書懷 (0) | 2014.06.15 |
[두보]乾元中寓居同谷縣作歌七首 (0) | 2014.06.15 |
[두보]望嶽 (0) | 2014.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