乾元中寓居同谷縣作歌七首
건원 연간에 동곡현에서 지내면서 일곱 편을 지어 부르다
其一
有客有客字子美
白頭亂髮垂過耳
歲拾橡栗隨狙公
天寒日暮山谷裏
中原無書歸不得
手脚凍皴皮肉死
嗚呼一歌兮歌已哀
悲風爲我從天來
나그네여! 나그네여! 그대 이름은 자미
헝클어진 흰머리 귀를 덮었네
세모에 원숭이 기르는 사람 따라 도토리를 줍네
날 춥고 해 저문 산골에서.
중원의 소식 없어 돌아갈 길 막막하고
손발이 얼어 터져 산송장이 따로 없네
어허! 첫 노래여! 노래 이미 서글픈데
시린 바람도 나를 위해 하늘에서 내려오는가!
*건원: 당 숙종(肅宗)의 연호(758~760)
*우거: (타향이나 남의 집에서) 얹혀살다(=寄居, 僑居)
*동곡: 동곡현. 당나라 때 진주군(秦州郡)과 성주군(成州郡)의 치소가 있던 곳. 지금의 농남시(隴南市) 성현(成縣)이다. 두보가 동곡에 이르러 현령을 만나려 하였으나, 두보가 벼슬이 없고 생활이 곤궁한 것을 알고 있던 현령이 만나주지 않았다. 두보는 산 밑에 움막을 틀고 식량도 떨어진 상태에서 눈 쌓인 겨울을 나면서 이 시를 지었다.
*자미: 두보의 자
*세습: ‘세’는 세밑(歲暮)을 가리킨다. ‘天寒日暮’와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暮’를 생략한 것이다.
*상율: 상수리, 도토리. 橡 상수리나무
*저공: 원숭이를 기르는 사람
*皴: (피부가) 트다. ‘皮肉死’는 살갗이 감각을 잃어버린 것을 뜻한다.
其二
長鑱長鑱白木柄
我生託子以爲命
黃獨無苗山雪盛
短衣數挽不掩脛
此時與子空歸來
男呻女吟四壁靜
嗚呼二歌兮歌始放
閭里爲我色惆悵
보습아! 보습아! 손잡이 흰 보습아!
내 삶이 너에게 기대어 살아가는구나
눈 쌓인 산에 황독 싹은 안 보이고
얇은 옷 당기고 당겨도 정강이를 못 가리네
오늘도 너와 함께 빈 손으로 돌아오니
고요한 방 안에서 아이들만 앓고 있네
슬프다! 둘째 노래 부르자마자
이웃들도 내 생각하며 낯빛 어두워지네
*鑱: 보습
*子: ‘長鑱’을 가리킨다.
*황독: 야생 식물의 이름. 토란처럼 생겼으며 고대에는 구황식품으로 먹었다.
<해제>
759년 48세 때 작품. 이해 두보는 진주를 떠나 힘들고 오랜 여정 끝에 11월에야 목적지인 동곡에 이르렀다. 이곳에 오기 전 본래 동곡이 살기 좋은 곳이니 오게 되면 도와주겠다고 약속한 사람이 있었으나 그것은 사실 의례적인 인사였다. 막상 동곡에 도착하자 그런 사람을 찾아볼 길이 없었고 이곳은 두보가 그간 지나온 곳보다도 척박한 땅이었다. 배고픔과 추위라는 생존의 문제에 직면해 두보는 절박한 심정으로 시를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