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시언해(杜詩諺解)
<역주자 및 연대>
성당 때의 시인 두보의 시를 국역한 시집으로 원명은 '분류두공부시언해(分類杜工部詩諺解)'로 원(元)나라 때 편찬된 '찬주분류두시(纂註分類杜詩)'를 원본으로 삼아 두보의 시 1,647편 전부와 다른 사람의 시 16편에 주석을 달고 풀이한 책으로, 초간본(初刊本)과 중간본(重刊)이 있으며, 초간 '두시언해'는 1443년(세종 25) 4월에 착수, 38년만인 1481년(성종 12)에 비로소 간행된 한국의 첫 역시집(譯詩集)이다. 세종 ·성종 때에 걸쳐 왕명으로 승려 의침(義砧)을 비롯하여 유윤겸(柳允謙) ·유휴복(柳休復) ·조위(曺偉) 등이 주해하였는데, 당시 두시(杜詩)에 통달한 사람은 신분과 상관없이 종사하게 한 대대적인 번역 사업이었으며, 전 25권, 활자본으로 간행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1·2·4·5·12권이 없어져 전하지 않는다.
그 후 중간 '두시언해'는 초간본을 바탕으로 하여 그대로 옮긴 것으로서, 1632년(인조 10) 3월에 경상감사 오숙(吳塡)이 대구부사 김상복(金尙宓)에게 시켜 관하 각 읍에서 목판본 전 25권으로 분간(分刊)하게 한 것이다.
<언해 동기>
두보의 시는 그 사상적 바탕이 유교적이고 그 정서가 우국적이어서 한시의 모범이라고 생각되어 이의 일반화를 위하여 번역한 것으로, 두시를 언해한 의도가 초간본에는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조위의 서(序)에 두시를 읽히고자 함은 민간의 세교풍화(世敎風化)를 위함이라고 한 점으로 보아, 언해는 두시를 더욱 널리 많이 읽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볼 수 있다.
중간본 '두시언해'의 서에는 언해 의도를 분명히 밝히고 있는데, 그것을 들어보면 위학자 또는 시가들이 회득(會得: 마음속으로 깨달아서 알아차림)하지 못하며, 미창(未暢)한 바가 있으므로, 마땅히 언해되어야 하며, 아직 미발명된 밀의(密意: 비밀한 뜻. 또는 숨은 뜻) 오의(奧義: 어떤 사물이나 현상이 지니고 있는 깊은 뜻)를 밝히기 위해서 언해가 미도(迷途: 해결책을 못 찾아 갈팡질팡하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의 지남(指南: 가리켜 지시함. 또는 이끌어 가르침 혹은 미로(迷路)를 뜻함)과 같다고 하였다.
두시는 조선시대의 국시(國是)와도 합치되는 작품들이어서 당시의 과제(科題)로 자주 출제되었는데, 책의 내용은 기행(紀行)․술회(述懷)․회고(懷古)․우설(雨雪)․산악(山嶽)․강하(江河)․문장(文章)․서화(書畵)․음악․식물․조수(鳥獸)․충어(蟲魚)․화초․송별(送別)․경하(慶賀)․잡부(雜賦) 등 52부로 분류되어 있다.
① 내용이 유교적이고 우국적(憂國的)이어서 국시(國是)에 알맞았다.
② 시(한시)의 법도를 확립하기 위해 두보의 시 연구를 장려했다.
<의의>
*문학적 의의: 국문학사상 최초의 번역시집인 점과 한시 및 국문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한시의 모범으로 삼아 연구할 가치 를 지님
*어학적 의의: 초간본과 중간본의 연대 차이가 150년간이나 되므로, 그 동안의 우리말의 음운 변천을 연구하는 귀중한 자료가 된다.
①국문학상 최초의 번역 시집이다.
②중세 국어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③한시 및 한문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초간본과 중간본 비교
구분 |
초간본 |
중간본 |
비고 | |
간행 연대 |
1481년 12월(성종12) |
1632년 2월(인조10) |
약 150년 차이 | |
역주자 |
유윤겸, 조위, 의침 |
오숙, 김상복(발행인) |
| |
서문 |
조위 |
장유 |
| |
字體와 판본 |
강희안의 을해자 활자본 |
목판본 |
| |
및 음운 |
방점 |
있음 |
없음 |
|
철자법 |
연철 |
간혹 분철이 있음 |
이스른> 이슬은 | |
|
씌었음 |
없어졌음 |
| |
구개음화 |
나타나지 않음 |
간혹 나타남 |
| |
모음조화 |
모음조화현상이 약화된 것이 적음 |
모음조화현상이 약화된 것이 많음 |
| |
삽임모음 |
규칙적으로 사용 |
불규칙적임 |
| |
자음동화 |
자음이 동화된 대로 기록된 것이 비교적 적음 |
자음이 동화된 대로 기록된 것이 많음 |
| |
현전본 |
1,2,4,5,12권 부전 |
전 25권이 다 전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