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虢 나라 괵
<'김성동 천자문 쓰기'를 옮김>
晉獻公이 欲伐虢하여 假途於虞하니 虞公이 不聽宮之寄之諫而假之러니 及晉滅虢에 竝滅虞하니라.
진나라 헌공이 괵나라를 치고자 하여 우나라에 길을 빌리자고 하였는데, 우나라 임금은 궁지기의 간언을 듣지 않고 길을 빌려주었다. 그후 진나라는 괵나라를 멸망시킨 다음 우나라도 함께 멸망시켰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희공 5년조에 나오는 말. 춘추시대 말엽(B.C. 655), 진(晉)나라 헌공은 괵나라를 공격할 야심을 품고 통과국인 우나라 우공에게 그곳을 지나도록 허락해줄 것을 요청했다. 우나라의 현인 궁지기(宮之寄)는 헌공의 속셈을 알고 우왕에게 간언했다. “괵나라와 우나라는 한몸이나 다름없는 사이오라 괵나라가 망하면 우나라도 망할 것이옵니다. 옛 속담에도 수레의 짐받이 판자와 수레는 서로 의지하고(輔車相依), 입술이 없어지면 이가 시리다(脣亡齒寒)고 했습니다. 이는 바로 괵나라와 우나라의 관계를 말한 것입니다. 결코 길을 빌려주어서는 안될 것입니다.”
그러나 뇌물에 눈이 어두워진 우왕은 “진과 우리는 동종(同宗)의 나라인데 어찌 우리를 해칠 리가 있겠소?” 라며 듣지 않았다.
궁지기는 후환이 두려워 “우리 나라는 올해를 넘기지 못할 것이다.” 라는 말을 남기고 가족과 함께 우나라를 떠났다.
진나라는 궁지기의 예견대로 12월에 괵나라를 정벌하고 돌아오는 길에 우나라도 정복하고 우왕을 사로잡았다.
이때부터 입술과 이의 관계처럼 결코 끊어서는 안 되는 관계를 가리킨다. 동의어로 순치지국(脣齒之國)·순치보거(脣齒輔車)가 있으며, 유사어로 조지양익(鳥之兩翼)·거지양륜(車之兩輪)이 있다.
<요약>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말로 서로 떨어질 수 없는 밀접한 관계라는 뜻.
[출처] 두산백과
踐土는 地名이니 晉文公이 約諸侯할새 會盟於此하고 召周襄王於河陽而朝之하니 是는 挾天子以令諸侯也라.
천토는 지명이니, 진나라 문공이 제후들과 약속하여 이 곳에서 회맹하고 주나라 양왕을 하양에서 불러와 조회하였으니, 이는 천자를 등에 업고 제후들을 호령한 것이다.
<괵나라는 괵중이 세운 나라로 주평왕이 동천할 때 서괵으로 옮겼다가 진나라에 망하였다. 천토에는 천토대가 있는데 진문공은 자신의 위세를 과장하여 제후들에게 피로서 충성을 맹세하게 하였다.>
起翦頗牧 用軍最精-기전파목 군용최정 (0) | 2012.09.24 |
---|---|
何遵約法 韓弊煩刑_하준약법 한폐번형 (0) | 2012.09.11 |
晉楚更覇 趙魏困橫 (0) | 2012.09.04 |
俊乂密勿 多士寔寧 (0) | 2012.09.03 |
綺回漢惠 說感武丁 (0) | 2012.09.02 |